농부모의 건청유아 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peech Sounds in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Article information

Commun Sci Disord Vol. 18, No. 1, 107-115, March, 201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3 March 30
doi : https://doi.org/10.12963/csd.13011
aCenter for Speech-Language Therapy and Counseling, Kangnam University, Yongin, and Pearl Auditory Rehabilitation Research Center, Bucheon, Korea
bMajor in Speech Patholog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nam University, Yongin, Korea
김미정a, 김재옥,b
a강남대학교 언어치료 및 상담센터, 펄보청기청각재활연구소
b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치료교육전공
Corresponding author: Jaeock Kim, PhD E-mail: jaeock@gmail.com / Tel: +82-31-280-3221 / Fax: +82-31-280-3479
Received 2013 January 08; Accepted 2013 January 30.

Abstract

Objectives:

The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a hearing-impaired person’s speech differ from those of a hearing person’s speech. Despite their normal hearing abilities, children of hearing impaired parents may have different speech patterns from children of normal hearing parents because of the differing speech stimuli they receive from their parents. We studied the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vowels and stop consonants produced by the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to reveal how the speech of deaf parents affect their children’s speech sounds.

Methods:

Normal hearing children of ages 3 to 6, nine of deaf parents and nine of normal hearing par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first formants (F1) and second formants (F2) of vowels /i/, /u/, /a/ and vowel triangle area as well as the voice onset times and closure durations in CV and CVC of stops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F1s and F2s of all vowels except F2 of /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vowel triangle area of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children of normal hearing parents. The VOTs in all stops except /p*/ in V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Similarly, the closure durations in all sto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show normal development of speech sound acquisition; however, hearing-impairment of parents might affect their children’s speech acquisition to some degree.

신생아는 출생 후 자라면서 외부로부터 말소리들을 자극받아 그 소리들을 지각하고 음향음성학적 차이에 따른 음소 간의 차이를 변별함으로써 모국어의 음소 목록에 있는 음소들을 습득하고 발화하게 된다(Kim & Shin, 2007; Kim, Shim, & Kim, 2012). 정상적이고 보편적인 말소리 환경에서 자라는 아동이라면 정상 음소목록을 습득하고 발화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고 왜곡된 말소리 환경에서 자라는 아동이라면 왜곡된 말소리 자극을 모방하게 됨으로써 정상 음소 목록을 습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청각적인 피드백에 제한이 있는 청각장애인은 말소리 산출에 있어 건청인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Choi & Seong, 2010). 청각장애인의 말 특성을 초분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문장 내 쉼의 길이가 길며, 전반적으로 말소리가 느리고(Yoon, 2004), 음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며, 비정상적인 운율 형태와 거칠거나 숨소리가 섞인 발성, 과비성 혹은 과소비성 등을 보인다(Shin, 2000). 분절적인 측면에서 보면, 자음 산출 시 입 앞쪽에서 만들어지는 자음이 뒤쪽에서 만들어지는 자음보다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되며, 특히 파열음 간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아 말 명료도가 낮아지고, 모음 산출 시에는 건청인에 비해 각 모음이 목표 조음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조음기관을 최소한으로 움직여서 모음의 중립화가 일어나게 되어 모음간의 구분이 어렵고, 모음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혀의 움직임이 작고 턱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모음의 왜곡이 심하다(Kim & Shin, 2007; Oh, 1999).

청각장애가 있는 부모의 건청유아는 말소리를 배우는 초기에 건청부모를 둔 건청유아와는 다른 언어자극을 받게 된다. 즉, 청각장애 부모를 둔 건청유아의 경우 정상적인 청력을 지녔어도 부모의 왜곡된 발음을 청각적으로 자극받아 왜곡된 발음을 습득하여 산출할 가능성이 높다. 청각장애 부모의 아동은 건청부모의 아동에 비해 언어발달뿐만 아니라 음운발달도 지체되었으며, 이는 부모의 청각장애로 인한 언어자극의 부족과 왜곡된 말소리에 기인한다는 선행연구도 있다(Ok, 2004).

반면, 농부모를 둔 2세의 건청유아들은 부분적으로나마 어머니로부터 언어를 배우고 어머니의 발화를 모방하기도 하나 어머니의 발화가 비정상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그것을 모방하지 않으며 정상적인 발화를 이해하고 선택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Schiff-Myers & Klein, 1985). 이렇게 부모의 청각장애 여부에 따라 그들 자녀의 말소리 산출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일치된 의견이 없을 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부모의 건청유아가 산출한 음소를 음향 음성학적으로 분석하여 건청부모의 건청유아와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농부모에 의한 조음 자극이 유아의 말 산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세에서 6세 사이의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미취학 건청유아 중 농부모의 유아 9명과 건청부모의 유아 9명이다. 연령을 만 3-6세로 제한한 이유는 검사어에 포함된 파열음이 모두 숙달연령 이상에 도달하고(Kim, 1996), 구어지각력을 습득하는 연령대이기 때문이다(Ohde & Haley, 1997; Shin, 2007).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은 순음청력검사에서 정상으로 보고되었으며, 조음기관의 구조적 장애 및 운동 능력에 이상이 없는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유아의 성별은 두 집단 모두 남아가 4명이고 여아가 5명이었다. 농부모 건청유아의 월령은 37-74개월이었고, 건청부모 건청유아의 월령은 36-72개월로 두 집단 간 연령의 차이를 Mann-Whitney U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신체발달과 초기 언어발달은 두 집단의 유아들 모두 정상이라고 보고되었으며 두 집단의 유아 모두 만 3세 이후부터 교육기관을 이용하기 시작하였고, 그 이전에는 어머니와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현재 교육기관의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농부모의 건청유아들이 6.67시간, 건청부모의 건청유아들은 평균 5.67시간으로 두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농부모와 유아의 의사소통은 모두 수화와 구어를 함께 사용했고, 수화만 사용하는 가정은 없었다. Table 1은 두 건청유아 집단의 배경정보를 나타낸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두 집단의 부모는 모두 연령이 30-40대였으며, 농부모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농인이었다. 그 중 선천적으로 청각장애를 가진 부모는 4명이었고, 나머지는 청각장애의 시작 시기가 2-16세로 다양하였다. 농부모들은 모두 청각장애인의 음성 특징인 모음의 중립화현상과 파열음 간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아 말 명료도가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부모집단 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았기 때문에 이는 생략하였다.

검사어

극모음(cardinal vowel)인 전설고모음 /ㅣ/, 후설고모음 /ㅜ/, 전설저모음 /ㅏ/를 이용하여 모음의 포먼트와 모음삼각도 면적을 구하였다. 검사자가 유아에게 세 모음 /ㅣ/, /ㅜ/, /ㅏ/을 들려주고 유아로 하여금 여러 차례 반복 연습시킨 후 발화하게 하였다.

우리말 자음 중에서는 양순파열음 /ㅂ/, /ㅍ/, /ㅃ/, 치조파열음/ ㄷ/, /ㅌ/, /ㄸ/, 연구개파열음 /ㄱ/, /ㅋ/, /ㄲ/의 9개 파열음을 목표 음 소로 정하고, 목표 음소가 어두 초성에 위치하는 C파열음V의 형태의 9개 의미단어, /바지/, /파/, /빵/, /다리/, /타조/, /딸기/, /가방/, /카드/, /까마귀/를 선정하여 성대진동시작시기(voice onset time, VOT)을 측정하였다. 또한 목표 음소가 어중 초성에 위치하는 VC파열음V형태의 /ㅏ/+파열음+/ㅏ/를 사용하여 조합한 9개의 무의미단어를 이용하여 VOT와 폐쇄기간을 측정하였다. C파열음V 형태의 9개 의미 단어는 그림으로 제작하여 유아에게 제시한 후 이름을 산출하도록 하였으며, VC파열음V 형태의 9개 무의미단어는 그림으로 제작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글을 읽을 수 있는 유아는 글자 카드를 읽게 하고 읽지 못하는 유아는 연구자의 말소리를 따라 말하게 하였다.

유아로 하여금 각 단모음과 파열음을 포함한 단어들을 각 3번씩 산출하게 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

언어치료실이나 집 안의 조용한 공간에서 유아들의 말소리를 수집하였다. 산출된 말소리는 대상자의 입으로부터 10 cm 떨어진 위치에서 90° 각도로 고정된 단일지향성 다이내믹 유형의 마이크(D7 Vocal, AKG, Vienna, Austria)를 연결한 디지털 녹음기(TASCAM HD-P2, TEAC Co., Tokyo, Japan)로 녹음하였다. 녹음의 샘플링 속도(sampling rate)는 정지음의 개방파열이나 마찰음의 경우 5,000 Hz 이상의 주파수에 중요한 정보가 들어 있으므로 적어도 10,000 Hz까지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44,100 Hz로 하였으며, 양자화(quantization)는 16 bit로 하였다(Park, 2007).

유아로 하여금 3번씩 산출하게 한 각 모음과 파열음을 Praat (Stuffit 30918;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Netherlands)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펙트로그램 상에서 분석하였다. 모음의 포먼트는 모음의 안정 구간을 지정한 후 그 지점에서 첫 번째 포먼트(F1), 두 번째 포먼트(F2)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값들을 이용하여 모음삼각도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포먼트란 성대의 진동음이 성도를 통과하면서 성도의 모양에 따라 특정 주파수가 증폭된 현상으로 각 모음을 조음할 때 혀와 입술의 모양에 따라 공명주파수가 변화하게 되고, 모음삼각도 면적이란 모음을 산출할 때 혀의 위치(높낮이와 전후)를 대응시켜 도식화한 면적으로 한글 모음 삼각도의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극모음인 세 모음 /ㅣ/, /ㅏ/, /ㅜ/의 공명주파수 분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Shin, 2000).

파열음의 VOT는 어두 초성 파열음과 어중 초성 파열음에서 파열음의 터짐(burst)이 일어난 지점에서부터 후행모음의 규칙적인 파형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구간을 측정하였으며, 폐쇄기간은 어중 초성 파열음에서는 앞 모음이 끝나는 지점부터 파열음이 시작되는 지점까지의 기간을 측정하였다.

VOT는 파열음이 개방한 후에 후행하는 모음을 위해 성대의 진동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VOT는 대체로 기식성의 정도와 비례하여 기식성이 클수록 폐쇄기간 동안 성대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파열이 개방된 후에 후행하는 모음을 위해 성대가 진동을 시작할 때까지 시간이 더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Shin, 1997; Ji, 1993). 폐쇄기간은 구강 폐쇄가 일어난 기간으로 일반적으로 VC파열음V 구조에서 선행하는 모음과 파열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 사이의 간격을 측정한다(Shin, 1997; Ji, 1993). Figure 1은 파열음의 VOT와 폐쇄기간을 측정한 예이다.

Figure 1.

Closure duration and voice onset time (VOT) in /akha/.

자료의 처리

자료 처리

모든 분석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ver. 20.0 (IBM,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각 모음 /ㅣ/, /ㅜ/, /ㅏ/의 F1, F2, 모음삼각도 면적과 각 어두 초성 파열음의 VOT 및 어중 초성 파열음의 VOT와 폐쇄기간의 3번씩 반복 측정된 값들의 평균값을 구한 후 평균값을 이용하여 각 부모의 농 유무에 따른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통계 처리

모음의 F1, F2, 모음삼각도 면적 및 어두 초성과 어중 초성 파열음의 VOT와 폐쇄기간의 두 집단 간 평균 차이는 Mann-Whitney U 검정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각 집단에서 어두 초성과 어중 초성 파열음의 발성유형(평음, 경음, 격음)에 따른 VOT 및 폐쇄기간의 평균 차이는 Friedman one-way ANOVA 검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신뢰도

자료 측정의 신뢰도는 Pearson r correlation을 이용하여 검사자간 신뢰도와 검사자 내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검사자 간 신뢰도는 검사자 1이 측정한 18명의 음성자료 중 15%에 해당하는 3명의 자료를 임의로 추출하여 검사자 2 (언어치료전공 대학원생)가 모음의 포먼트, VOT 및 폐쇄기간을 재측정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모음 포먼트의 경우 상관계수가 .995, 파열음의 VOT의 상관계수는 .979, 폐쇄기간의 상관계수는 .860으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검사자 내 신뢰도는 전체 음성 자료 중 15%인 3명의 자료를 검사자 1이 재측정하였으며, 이들의 상관계수는 모음 포먼트의 경우 .994, 파열음의 VOT는 .780, 폐쇄기간은 .987로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 결과

집단 간 모음 포먼트 비교

부모의 농 유무에 따른 건청유아 집단 간의 단모음 /ㅣ/, /ㅜ/, /ㅏ/의 F1과 F2를 비교한 결과, 모음 /ㅜ/의 F2를 제외한 모든 모음의 F1과 F2가 농부모의 건청유아 집단이 건청부모의 건청유아 집단보다 높았으나 모음 /ㅣ/의 F2를 제외하고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able 2). 모음 /ㅣ/의 F2는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 (Mean=3,671.3, SD=166.0)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Mean= 3,385.1, SD=326.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z= -2.075, p=.040).

Comparison of vowel formants between two groups (unit= Hz)

집단 간 모음삼각도 면적 비교

농부모의 건청유아 집단과 건청부모의 건청유아 집단의 세 단모음 F1과 F2의 평균값을 좌표 상에 표시한 후(Figure 2), 모음삼각도 면적을 산출하여 부모의 농 유무에 따른 건청유아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한 결과,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Mean=1,071,864.3, SD=93,991.8) 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Mean=827,857.9, SD=188,286.9)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넓었다(z=-2.605, p=.008).

Figure 2.

Vowel triangle areas in two groups. F1= first formants, F2= second formants.

집단 간 어두 초성 파열음의 VOT 비교

부모의 농 유무에 따른 건청유아 집단 간의 C파열음V 환경에서 어두 초성 파열음의 VOT를 비교한 결과, /ㄱ/를 제외한 모든 평음과 격음에서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VOT가 대체적으로 더 길었지만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able 3).

Comparison of VOTs in CstopV between two groups (unit= sec)

집단 간 어중 초성 파열음의 VOT 비교

농부모의 건청유아 집단과 건청부모의 건청유아 집단 간의 VC파열음V 환경에서 어중 초성 파열음의 VOT 차이를 비교한 결과, Table 4와 같이 양순파열음 중 경음 /ㅃ/의 VOT에서만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Mean=0.030, SD=0.005)이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Mean= 0.024, SD=0.005)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길었다(z=-2.428, p=.014). 다른 음소들은 /ㄱ/를 제외한 모든 음소에서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VOT가 길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Comparison of VOTs in VCstopV between two groups (unit= sec)

집단 간 파열음의 폐쇄기간 비교

부모의 농 유무에 따른 건청유아 집단 간의 VC파열음V 환경에서 모음과 어중 초성 파열음 사이 폐쇄기간을 비교한 결과, Table 5와 같이 평음에서는 건청부모 건청유아의 폐쇄기간이 긴 반면 경음이나 격음에서는 농부모 건청유아의 폐쇄기간이 더 길었다. 그러나 모든 음소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Comparison of closure durations in VCstopV between two groups (unit= sec)

발성유형별 파열음의 VOT 및 폐쇄기간 비교

각 집단에서 발성유형별 어두 초성 파열음의 VOT는 농부모 건 청유아 집단과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서 양순음, 치조음, 연구 개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able 6). 이러한 차이는 두 집단 모두에서 경음과 평음, 경음과 격음 간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VOT는 격음, 평음, 경음의 순으로 짧게 나타났으며,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의 평음과 격음 간의 차이는 뚜렷한 반면, 농부모의 건청유아 집단의 경우는 평음과 격음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Statistical analysis of VOTs according to phonation types in each place of articulation of stop consonants in CstopV

각 집단에서 발성유형별 어중 초성 파열음의 VOT는 Table 7과 같이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과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서 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두집단 모두에서 격음의 VOT가 가장 길었으며, 그 다음으로 평음, 경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Statistical analysis of VOTs according to phonation types in each place of articulation of stop consonants in VCstopV

각 집단에서 발성유형별 어중 초성 파열음의 폐쇄기간은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과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서 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able 8). 발성유형별 폐쇄기간의 길이는 두 집단 모두에서 경음, 격음, 평음 순으로 짧아졌다. 다만,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의 연구개 파열음의 경우 격음이 경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었다.

Statistical analysis of closure durations according to phonation types in each place of articulation of stop consonants in VCstop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부모의 농 유무가 건청유아의 조음 산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농부모의 건청유아 집단과 건청부모의 건청유아 집단의 모음과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극모음 포먼트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모음삼각도 면적을 비교한 결과,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의 모음삼각도 면적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넓었다. 이는 세 극모음의 F1이 모든 음소에서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보다 평균값이 높았고, F2는 /ㅣ/와 /ㅏ/의 경우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더 높은 포먼트 값을 보이면서 /ㅜ/는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더 낮았기 때문이다.

Fant (1962)의 연구에 따르면 모음의 F1은 개구도와, F2는 혀의 전후설과 관계가 있다. F1이 높다는 것은 턱을 더 많이 벌리고 혀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개구도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F2가 높다는것은 혀가 앞쪽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를 대입해보면,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의 세 모음에서의 높은 F1과 전설모음 /ㅣ/와 /ㅏ/의 높은 F2, /ㅜ/의 낮은 F2는 세 모음에서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턱을 더 벌려 개구도를 크게 하고, 조음 시 조음기관의 움직임이나 모양이 시각적으로 보다 잘 보이는 전설모음이나 저모음의 경우에는 혀를 좀 더 앞쪽에 위치시키지만 조음 시 구강 내 구조물의 위치를 판단하기 어려운 후설모음의 경우에는 혀를 좀 더 뒤에 위치시킨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모음을 조음할 때 턱과 혀의 움직임의 범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각장애인은 건청인에 비해 전설모음의 F1과 F2는 낮고, 후설고모음의 F1과 F2는 높게 나타나 모음삼각도의 면적도 작다(Choi & Seong, 2010; Dagenais & Critz-Crosby, 1992). 이는 전설모음에서는 개구도가 작아지고 혀는 뒤쪽에 위치시키는 반면, 후설모음의 경우에는 개구도는 커지지만 혀를 앞쪽에 위치시켜 모음을 산출할 때 혀의 움직임의 범위가 적어 조음공간이 작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청각장애인의 조음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그들의 건청자녀가 습득하고 이를 모방한다면 농부모 건청자녀의 모음포먼트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정하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연구 결과 이와는 반대로 농부모의 건청자녀의 모음포먼트는 건청부모의 건청자녀의 모음 포먼트 패턴과 유사하였으며, 오히려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모음 산출 시 더 넓은 모음 조음공간을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건청유아가 의사소통 상황에서 그들의 농부모에게 좀 더 큰 시각적인 단서를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되었거나 청각장애를 가진 부모들의 발화가 건청인의 발화와 다르다는 것을 유아들이 이해하여 부모들의 발화를 모방하지 않는다는 Schiff-Myers와 Klein (1985)의 연구 결과처럼 건청유아들이 정상적인 모음발화를 선택하여 습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 청각장애인들은 어려서부터 학교 교육이나 언어치료 등으로 구어 훈련을 받는다. 이때 그들을 지도하는 교사나 치료사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조음점을 습득시키며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입모양을 과장되게 모델링을 한다. 이러한 학습 결과로 자신의 소리를 피드백하지 못하는 농부모는 영아기의 자녀에게 과장된 입모양을 취하며 말소리를 전달함으로써 그들의 자녀가 농부모의 조음기관의 움직임 형태를 습득하였을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건청유아가 파열음을 산출할 때 부모의 농 유무에 따라 파열음의 기식성을 나타내는 VOT 및 선행하는 모음과 파열음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폐쇄기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집단간 어두 초성 및 어중 초성 파열음의 VOT는 기식성을 갖는 대부분의 격음과 평음의 평균값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서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길게 나타났으나 어중 초성 파열음 중 /ㅃ/를 제외한 모든 음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어중 초성 파열음의 폐쇄기간은 평음을 제외하고 경음과 격음 모두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길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발성유형에 따른 파열음의 VOT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조음 위치에서 파열음의 VOT는 어두 초성이나 어중 초성에서 두 집단 모두 격음이 가장 길었고, 그 다음으로 평음과 경음의 순으로 짧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나 어두 초성 파열음의 경우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은 격음, 평음, 경음 간에 VOT 평균값의 차이가 크기 나타나 격음, 평음, 경음의 구분에 있어 VOT가 중요한 특성이라고 한 Seo (2002) 의 연구와 일치하는 반면,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의 경우에는 어두 초성 파열음에서 격음과 평음 사이의 VOT가 큰 차이가 없어 기식성에 의한 음소의 변별성이 떨어지는 듯하다. 이는 파열음과 파열음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아 말 명료도가 낮은 청각장애인(Oh, 1999)인 부모로 인해 음소 지각이 발달되는 시기에 어머니와 대부분의 시간을 지냈던 유아들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또한 음소별 변화를 보면, 두 집단 모두 평파열음이 VCV환경에서 CV환경보다 짧은 VOT를 보였고, 격음과 경음의 경우는 VCV 환경에서도 VOT가 줄어들지 않았다. 이는 유성음 사이에서 평음은 가장 큰 영향을 받아 VOT가 짧아지고 경음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Seo (2002)의 연구와 일치하는 내용이다. 평파열음의 경우 어두 환경에서와는 달리 모음 사이 환경에서 기식성이 현저히 떨어져 격음보다는 경음의 기식 정도에 더 가까워졌으며 이런 현상은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과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 모두에서 나타나 두 집단 모두 음소의 환경변화에 정상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발성유형에 따른 파열음의 폐쇄기간의 차이는 두 집단 모두에서 경음이 가장 길었으며, 그 다음으로 격음, 평음의 순서였다. 이것은 VCV 환경에서 경음성 치조파열음의 폐쇄기간이 가장 길고 평음성 치조파열음이 가장 짧은 폐쇄기간을 보인다는 Shin (1997)의 연구와 일치한다. 그리고 긴장이 적은 소리인 평음이 긴장이 많은 소 리인 경음보다 말소리가 빠르다는 Ji (1993)의 연구와도 의미적으로 관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파열음의 VOT와 폐쇄기간을 종합해 보면, 비록 농부모 집단이 파열음의 VOT가 짧고 폐쇄기간이 긴 경향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VOT와 폐쇄기간의 집단 간 차이가 없었고, 발성유형에 따른 VOT 와 폐쇄기간의 차이도 집단마다 동일하였다. 그러므로 부모의 청각장애 유무가 파열음 산출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는 볼 수 없다.

본 연구를 통해 건청유아들은 부모의 농 유무에 상관없이 정상적인 말소리 발달을 하고 있지만 부모의 청각장애가 미세하나마 그들 자녀의 말소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수가 적고 대상자들의 연령이 부모의 말 자극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는 영아기나 아주 어린 유아기만이 아닌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부터 다른 말 자극을 받을 수 있는 만 6세까지의 유아를 포함시킴으로 인해 명확한 결론을 단정짓기는 어렵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부모의 말소리 자극에 좀 더 많은 영향을 받는 연령대가 낮은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청각장애가 그들의 말소리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외부로부터의 말소리 자극이 증가하게 되면서 그들의 말소리가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해 가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농부모들은 자신의 장애가 자녀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때로는 정확한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부모의 청각장애가 자녀의 언어발달이나 음소발달을 늦추는 주된 원인이 된다고 주변의 비난을 받기도 한다. 기질적인 장애가 없는 아동이라도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고 특히 부모의 장애 여부가 아동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언어발달이나 음소발달 지체의 원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연구의 결과에 따라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방안들이 제시되거나 혹은 통제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없다면 장애인 부모가 가질 수 있는 자책감을 덜어줄 수도 있을 것이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RF-2011-327-B00599).

References

Choi, E., & Seong, C. (2010). The artic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ofound hearing-impaired adults’ Korean monophthongs: with reference to the F1, F2 of acoustic vowel spa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 229–238.
Dagenais, P.A., & Critz-Crosby, P. (1992). Comparing tongue positioning by normal-hearing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during vowel produc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5, 35–44.
Fant, C.G. (1962). Descriptive analysis of the acoustic aspects of speech. Logos, 5, 3–17.
Ji, M.J. (1993). The length of speech sounds. New Korean Life, 3, 39–57.
Kim, S.J., & Shin, S.J. (2007).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Seoul: Sigma Press.
Kim, Y.T. (1996). Study of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 of 2-6 years old children using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PAC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 7–34.
Kim, Y.T., Shim, H.S., & Kim, S.J. (2012).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speech sound disorders in children (6th ed.). Seoul: Bakhaksa.
Oh, Y.J. (1999). Acoustic comparison of vowel and plosive productions between the normal and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Ohde, R.N., & Haley, K.L. (1997). Stop consonant and vowel perception in 3- and 4-year-old children. Journal of the Acoustic Society of America, 102, 3711–3722.
Ok, J.D. (2004). A case study of phonological processes of language disorders with parents deaf.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5, 161–179.
Park, H.S. (2007). PRAAT: speech analysis program. Seoul: Hanbit.
Schiff-Myers, N.B., & Klein, H.B. (1985). Som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of normal-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8, 466–474.
Seo, M.K. (2002). An experimental study of voice onset time of Korean stops correlation with contex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Shin, H.J. (2007). A comparison study of alveolar stop-consonant perception and production by hearing-impaired children. Hearing Impairment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0, 27–36.
Shin, J.Y. (1997). Consonantal production and V-to-V coarticulation in Korean VCV sequences. Speech Sciences, 1, 55–81.
Shin, J.Y. (2000). Understanding of speech sounds. Seoul: Hankookmunhwasa.
Yoon, M.S. (2004). Speech rate and pause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hear ing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9, 15–2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Closure duration and voice onset time (VOT) in /akha/.

Figure 2.

Vowel triangle areas in two groups. F1= first formants, F2= second formants.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Parents
Deaf, Mean (SD) Normal hearing, Mean (SD)
Age (mo) 52.56 (16.15) 53.44 (11.51)
Spending time in educational institution (hr) 6.67 (2.18) 5.67 (0.71)
Spending time with parents (hr) 17.3 (2.18) 18.33 (0.71)
Physical development Normal Normal
Early language acquisition Normal Normal
Communication skills with parents Spoken+sign language Spoken language

Table 2.

Comparison of vowel formants between two groups (unit= Hz)

Monophtong Deaf parents (n=9) Normal hearing parents (n=9) z P
Mean SD Mean SD
/i/ F1 501.1 116.0 477.6 70.4 -.044 1.000
F2 3,671.3 166.0 3,385.1 326.0 -2.075 .040*
/u/ F1 521.2 106.4 497.1 90.2 -.795 .436
F2 1,064.6 106.4 1,126.2 159.3 -1.015 .340
/a/ F1 1,342.0 152.0 1,225.7 91.3 -1.546 .136
F2 1,934.6 187.5 1,825.1 84.0 -.972 .340

*p < .05.

Table 3.

Comparison of VOTs in CstopV between two groups (unit= sec)

Stop consonants Parents z P
Deaf (n = 9) Normal hearing (n=9)
Mean SD Mean SD
Bilabial /p/ 0.072 0.019 0.078 0.022 -1.104 .297
/p*/ 0.021 0.016 0.021 0.022 -.265 .796
/ph/ 0.079 0.015 0.096 0.023 -1.545 .136
Alveolar /t/ 0.078 0.019 0.086 0.018 -1.104 .297
/t*/ 0.026 0.015 0.026 0.012 -1.810 .077
/th/ 0.077 0.008 0.092 0.004 -1.192 .258
Velar /k/ 0.087 0.023 0.081 0.015 -.309 .796
/k*/ 0.034 0.012 0.032 0.009 -.397 .730
/kh/ 0.089 0.026 0.104 0.025 -1.369 .190

Table 4.

Comparison of VOTs in VCstopV between two groups (unit= sec)

Plosives Parents z P
Deaf (n = 9) Normal hearing (n=9)
Mean SD Mean SD
Bilabial /p/ 0.037 0.028 0.057 0.061 -1.192 .258
/p*/ 0.024 0.005 0.030 0.005 -2.428 .014*
/ph/ 0.069 0.019 0.090 0.021 -1.634 .113
Alveolar /t/ 0.039 0.025 0.044 0.024 -.662 .546
/t*/ 0.029 0.009 0.035 0.011 -1.369 .190
/th/ 0.071 0.022 0.091 0.018 -1.722 .094
Velar /k/ 0.053 0.044 0.045 0.023 -.132 .931
/k*/ 0.034 0.006 0.036 0.011 -.397 .730
/kh/ 0.096 0.025 0.123 0.023 -1.987 .050

*p < .05.

Table 5.

Comparison of closure durations in VCstopV between two groups (unit= sec)

Stop consonants Parents z P
Deaf (n = 9) Normal hearing (n=9)
Mean SD Mean SD
Bilabial /p/ 0.062 0.025 0.067 0.056 -.442 .666
/p*/ 0.212 0.054 0.196 0.038 -.309 .796
/ph/ 0.171 0.065 0.165 0.061 -.132 .931
Alveolar /t/ 0.045 0.020 0.070 0.108 -.751 .489
/t*/ 0.225 0.059 0.209 0.040 -.397 .730
/th/ 0.188 0.044 0.178 0.045 -.309 .796
Velar /k/ 0.046 0.026 0.065 0.074 -.442 .666
/k*/ 0.190 0.046 0.163 0.062 -.839 .436
/kh/ 0.161 0.040 0.168 0.085 -.397 .730

Table 6.

Statistical analysis of VOTs according to phonation types in each place of articulation of stop consonants in CstopV

Group Place of articulation χ2 P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Bilabial 13.556 .001
Alveolar 14.000 .001
Velar 13.556 .001
Normal hearing children of normal hearing parents Bilabial 14.000 .001
Alveolar 8.667 .013
Velar 14.889 .001

Table 7.

Statistical analysis of VOTs according to phonation types in each place of articulation of stop consonants in VCstopV

Group Place of articulation χ2 P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Bilabial 11.556 .003
Alveolar 10.667 .005
Velar 8.667 .013
Normal hearing children of normal hearing parents Bilabial 13.556 .001
Alveolar 13.556 .001
Velar 10.889 .004

Table 8.

Statistical analysis of closure durations according to phonation types in each place of articulation of stop consonants in VCstopV

Group Place of articulation χ2 P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Bilabial 8.000 .018
Alveolar 8.000 .018
Velar 11.556 .003
Normal hearing children of normal hearing parents Bilabial 6.500 .039
Alveolar 8.000 .018
Velar 8.000 .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