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ommun Sci Disord > Volume 28(2); 2023 > Article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 및 만족도 연구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동영상)에 따른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와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 거주기간 5년 이상이며, 한국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고, 학령전기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 중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베트남 국적의 다문화가정 어머니 20명(텍스트 집단 10명, 동영상 집단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동영상)에 따른 집단 간 이해도와 만족도는 정보제공 유형과 사전·사후 평가 간 상호작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정보제공 유·무에 따른 사전·사후 이해도 및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이해도 설문지 하위 범주의 사전-사후 통계 결과, 텍스트 그룹은 6개 범주 중 2개 범주에서, 동영상 그룹은 6개 범주 중 5개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 설문지 하위 범주의 사전-사후 통계 결과, 텍스트 그룹은 5개 범주 중 4개 범주에서, 동영상 그룹은 5개 범주 중 4개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정보제공이 어플리케이션의 이해도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플리케이션 선별 평가로의 접근성을 높여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조기에 선별하여 조기 중재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with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sion type (text, video).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with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for 20 Vietnamese mothers (10 in the text group and 10 in the video group) who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5 years, and raised children in pre-school age.

Result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sion type and the pre- and post-evaluation,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pre-post-statistics of the subcategory of the comprehension questionnaire, the tex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2 out of 6 categories and the video group in 5 out of 6 categories. Third, as a result of the pre-post-statistics of the subcategory of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tex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4 out of 5 categories and the video group in 4 out of 5 categories.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b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the screening test application, the possibility of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increased.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이후 외국인 여성의 결혼 이주 등으로 인해 국제결혼 가정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언어 및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회 구성원이 증가하였다. 국제결혼 비율 중 한국인 남성과 외국 출신 아내가 결혼한 비율이 66.4%로 가장 높았으며, 그중 베트남은 14.7%로 높은 국적 비율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21). 또한 2020년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 약 27만 명 중 베트남 출신 부모를 둔 아동은 약 9만 명(33.9%)으로 다문화가정 아동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21).
따라서 베트남 출신 어머니의 다문화가정 자녀 수 또한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Statistics Korea, 2021). 2016년 기준 초기 평가를 받은 다문화가정 아동 중 언어와 관련된 중재가 필요한 아동은 54.2%로 과반수 이상의 비율이 보고되었다(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7). 언어병리학 분야에서 진행된 다문화가정 아동과 관련된 연구에 따르면,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언어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수행력을 보이며(Artiles & Klingner, 2006; Artiles & Ortiz, 2002) 이외에도 어휘 이해력 및 표현력 그리고 구문 이해력에도 어려움을 보이고(Hammer et al., 2014; Hwang & Jeong, 2008; Oh, Kim & Kim, 2009; Umbel, Pearson, Fernández, & Oller, 1992), 낮은 음운인식 능력과 낱말재인 능력(Fabiano-Smith & Goldstein, 2010; Gildersleeve-Neumann, Kester, Davis, & Peña, 2008; Yang, & Hwang, 2009)을 보이는 등의 특징이 보고되었다. 더욱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문화 및 언어적 차이로 아동의 한국어 언어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하며(Choi, Jung, Yim, & Kim, 2019), 한국어 언어 선별 평가에 대한 접근성도 낮다(Choi et al., 2019; Kohnert, Kennedy, Glaze, Kan, & Carney, 2003). 또한 조기선별 및 중재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Pae, Kwak, Kim, Jung, & Kim, 2009; Park, Sung, & Kim, 2013).
언어 발달은 생애 첫 5-7년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시기이다(Pence & Justice, 2008). 학령전기의 언어 발달은 아동의 발달과업 중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이후 읽기 및 쓰기와 같은 문해 발달과 학습 능력까지 연결된다(Khan et al., 2016; Shadden & Toner, 1998). Geren (2010)의 연구에 따르면 학령전기 언어 발달은 정서, 인지, 사회발달적으로 중요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후 새로운 어휘 습득과 복잡한 문장구조 산출과 같은 언어 발달의 기초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언어중재가 필요한 다문화가정 아동 중 영유아기 아동이 59.4%, 학령전기 아동 51.9%, 학령기 아동 60.2%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중재 필요성은 영유아기부터 장기적으로 학령기까지 필요하다. 또한 언어 발달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 발달지연을 일찍 확인하지 못해 중재를 받지 못한다면 심한 언어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적절한 시기의 중재는 발달적 접근에서 매우 중요하다(Kuhl, Conboy, Padden, D., Nelson, & Pruitt, 2005; Olswang, Rodriguez, & Timler, 1998). 특히 영유아기 및 학령전기에 적절한 언어적 중재를 받지 못한 아동은 학령기에 복합적인 어려움(예: 학업 능력 및 학교생활, 삶의 만족도 등)을 겪게 되며, 이로 인해 자아존중감과 같은 사회정서적인 부분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Magnuson, Lahaie, & Waldfogel, 2006; Oh 2014; Tamis-LeMonda et al., 2014). 즉,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었을 때 지속적으로 언어 사용의 어려움을 겪는다면 아동의 전반적인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언어 중재의 결정적인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선별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언어 발달 선별검사는 정상적인 언어 발달의 범주를 벗어난 언어 발달 지연 및 장애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시기에 조기 개입 및 언어 발달을 위한 자극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선별검사는 짧고 간결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권장된다(Meisels & Provence, 1989). 선별검사는 정밀검사 전에 선행되며, 보통 선별검사를 통해 아동들은 일반 발달 아동과 장애위험 아동으로 선별된다. 장애위험 아동이란 현재 장애로 판별되지는 않았으나 발달에 필요한 교육적인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방치될 경우 장애를 일으키거나 학교 및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보일 가능성을 가진 아동을 의미한다(Mcdonnell, 2016).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 가장 큰 염려는 자녀의 언어 발달로 나타났다(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1). 그러나 현재 국내 선별검사 도구들은 한국어로만 구성된 표준화 검사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7) 검사 진행 및 검사 결과를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는 표준화 검사는 다문화가정의 문화적 배경이 고려되지 않았으며, 검사 규준에도 다문화가정 아동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왔다(Garcia & Ortiz, 2006; Jeong, Kim & Park, 2012; Laing & Kamhi, 2003; Washington & Craig, 1999). 또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언어 선별 평가 검사지 및 안내문에 사용되는 전문용어들을 쉬운 용어로 쉽게 설명하는 것과 구체적인 예시 제시, 다양한 언어로도 번역을 지원해주었으면 한다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요구가 보고되었다(Choi et al., 2019; Zetlin, Padron, & Wilson, 1996).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준화 검사뿐만 아니라 자발화 분석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도 함께 수집하면서 다문화가정의 일반 발달 아동 및 언어장애 아동을 구분하는 새로운 선별검사가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선별검사와 관련된 연구들이 보고되어 왔으나(Kim, 2012; Lee & Park, 201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현재 국내외의 교육과 재활 분야에서는 평가, 중재, 훈련을 지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활용 중이며, 헬스케어, 스마트케어, 스마트 러닝 분야까지 확산되고 있다(Alessi & Trollip, 1985;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21; Lee, Lee & Sung, 2015).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가 있다. 스마트 기기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간접 경험의 기회를 가지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Lee et al., 2015). 따라서 언어 재활 분야에서도 이러한 장점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평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전교육이 대상자의 전문적 서비스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Heo, 2020; Hong, Kim, Lee, & Lee, 2016; Park & Im, 2015; Pepper & Weitzman, 2004). Park과 Choi (2003)의 연구에서 사전교육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사전교육 이후 시행하는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높은 이해도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사전교육은 조기선별, 조기평가 및 연령별 아동의 언어 발달 등에 대한 정확한 지식 습득에 제한이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였을 때 높은 만족도와 더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시청각적인 정보제공은 구두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에 비해 내용 누락의 위험성이 적으며, 정보 제공자의 감정 개입을 배제할 수 있고, 많은 정보 제공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Cohen & Hasler, 1987). 이때 정보제시 양식에 따라 대상자의 이해도와 태도변화, 만족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Andreoli & Worchel, 1978; Chaiken & Eagly, 1976, 1983). Min과 Lee (1998)의 연구에서 산모의 퇴원 교육 시 유인물과 구두 설명을 통한 교육보다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하고 있는 동영상 교육이 산모들의 더 높은 교육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처럼 동영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을 때 환자들의 이해도 및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Jeong, 2008; Lim & Jung 2013; Yeo, Song, Yoo, Kim, & Lee, 2001). 그러나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더 효과적인 정보제공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도움이 되는 사전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정보제공 방식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이해도 및 만족도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에 어려움이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전문가 심화검사 전 아동 언어 발달 및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선별 평가에 대한 사전교육 자료를 제공하여 어떠한 유형의 사전교육이 언어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이해도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전교육 자료가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자녀의 언어 발달 관련 정보 및 검사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언어 선별 검사로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아래와 같다.
1.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vs 동영상)에 따라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vs 동영상)에 따라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방법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학령전기 자녀를 가진 다문화가정 어머니 20명(텍스트 집단 10명, 동영상 집단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가정의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자인 어머니의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베트남 출신의 결혼이민자인 여성으로, (2) 현재 만 4-5세 자녀를 두었으며, (3) 한국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이며, (4) 중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5) 한국어 교육을 1년 이상 받은 적이 있다고 보고된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진행 시 모든 과정에서 베트남어를 제공하기 때문에 대상자의 한국어 실력에 제약을 주지 않고, 환경적 요인만을 통일하였다. 또한 정보제공 유형에 따라 두 그룹(텍스트, 동영상)으로 무작위로 선정되어 배치되었다. 대상 어머니들에 대한 정보는 Tables 1, 2에 제시하였다.

연구도구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문항, 사전교육 자료, 이해도 및 만족도 설문지는 모두 베트남 출신 어머니들의 언어장벽을 가능한 제거하기 위해 베트남어 번역본으로 제공하였다. 번역은 한국어를 전공한 원어민 전문 번역가에 의해 번역되었고, 다른 원어민 전문 번역가에 의해 감수 및 교차검증 하였다.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아동 언어 및 정서·행동 발달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한국사회과학연구(SSK)를 통해 다문화 아동의 언어 및 정서/행동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오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개발한 프로토콜이다(Choi et al., 2019; Kim, Kang, Kim, & Hong, 2022; Lee, Jeon, & Kim, 2022). 본 어플리케이션은 지역적 한계와 심리적 위축감으로 인해 조기선별 및 중재에 대한 어려움을 가진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Diverse Linguistic and Cultural; 이하 DLC) 아동들을 조기선별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개발과정으로는 DLC 가정 부모 10명, 전문가 및 교사 10명이 효과적인 조기선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등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한 질적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 요구조사 및 사용성 평가 등을 진행하였다(Kim et al., 2022). 또한 학령전기와 학령기 DLC 아동 각각 75명을 통하여 언어 및 정서, 행동 특성 데이터 구축 및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어플리케이션에 기본 정보를 기입 시 자녀의 아이콘을 선택 시 다양한 외형 특징을 가진 아이콘을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간접 평가와 직접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DLC 가정 부모가 간접 평가 문항에서 모르는 문항이 있을 시, 게임으로 구성된 직접 평가로 전환되어 아동이 직접 수행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정보는 저장되어 추후에 치료사와 상담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Choi et al., 2019; Hwang et al., 2019; Kim et al., 2022; Park & Yim, 2021; Shin, Park, Hong, Lee, & Park, 2018).
본 연구에서는 평가 정확도를 파악하는 것이 아닌 DLC 가정 부모, 특히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추가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 더 도움이 될지 확인해보고자 간접 평가를 사용하였다. 4세 0개월-5세 11개월의 총 25문항을 사용할 예정이며, 5가지 평가항목(표현, 이해, 조음, 구문, 화용)이 각각 5문항씩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예시는 Appendix 1에 첨부하였다.

사전교육자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전교육자료는 ‘아동 언어 및 정서·행동 발달 평가’ 어플리케이션 내용과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전체적인 방법 뿐만 아니라 언어 발달 검사의 필요성과 아동의 생활연령에 따른 언어 발달 정보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Choi et al., 2019; Yim, Kim, Park, Cheon, & Lee, 2014). 내용은 텍스트 및 동영상 그룹 모두 동일하며, 텍스트 그룹은 Google 문서 링크를 통하여 어머니들에게 배포되었으며, 인지부하 이론에 따라 시각적인 자극 하나만을 제시하였다. 동영상 그룹은 유튜브 링크를 통하여 어머니들에게 배포되었다. 텍스트 자료는 일반적인 안내 책자와 같이 줄글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동영상 자료는 정보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그래프 또는 도표 등이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되어 더 이해하기 용이하다. 특히 아이콘이나 화살표 등의 움직임을 통해 중요한 부분이 강조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어머니들에게 제공된 사전교육 예시는 Appendix 2에 첨부하였다.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만족도 설문지

본 연구는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Chun & Hong, 2021; Stallard, 1996). 이해도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아동의 언어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질문 3문항, 조기평가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질문 3문항, 조기중재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질문 3문항,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이해도를 묻는 질문 3문항, 어플리케이션 문항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질문 3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질문 3문항,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만족도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어플리케이션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 2문항, 어플리케이션 문항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 3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 2문항,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 9문항, 인권과 관련된 만족도를 묻는 질문 1문항,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의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모르겠다’, ‘전혀 아니다’, ‘조금 그렇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이루어져 있다. 어머니들에게 제공된 사전교육 예시는 Appendix 3, 4에 첨부하였다.

연구절차

평가 사전교육자료 예비연구 실시 및 제작

본 연구에 앞서 베트남 출신 다문화가정 어머니 3인의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유형으로는 텍스트와 동영상이 있다. 텍스트 자료의 경우 총 16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전연구결과 약 10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동영상 자료는 총 38개의 슬라이드로 구성되어 약 11분의 시청시간으로 텍스트 그룹의 소요시간과 유사하게 제작되었다. 동영상 자료의 음성은 TTS (Text to Speech)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는 한국어 음성을 제공하였다. 베트남 출신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예비연구 문항 및 자료 타당도 검증을 한 결과 두 유형 모두 평균 4.68점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자료 내용 및 동영상 자료의 듣기에 어려움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교육자료의 어휘(예: 접근성→쉬운 참여), 내용 등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교육자료를 완성하였다.

이해도/만족도 설문지 실시

본 연구의 사전·사후 평가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이자 장점인 시간적·공간적 편의성에 맞추어 상의를 통해 대상자가 편한 시간과 장소에서 실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사후 평가는 사전 평가를 진행한 이후 약 2-4주의 기간을 두고 평가를 진행하였다. 각 대상자의 평가 장소는 각각의 집에서 진행되었으며, 사후 평가 때도 사전 평가 때와 동일한 장소에서 진행되었다. 각 평가는 사전교육 어플리케이션을 경험하고 설문지 작성을 하는데 약 30분이 소요되었으며, 사후 평가는 사전교육 시간을 포함하여 약 50분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사후 평가는 동일하게 어플리케이션을 경험해 본 후 Google 설문지를 통하여 이해도·만족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후 평가 전에 텍스트 그룹은 Google 문서 링크 공유방법을 활용하며, 동영상 그룹은 유튜브 링크 공유방법을 활용하여 전달하여, 어머니들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사전교육 자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후 평가 당일에는 함께 사전교육 자료를 확인하는 시간을 가진 후에 평가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을 사용하였다. 이해도 및 만족도 설문지 결과의 정규성 검정 결과 정규분포를 만족하여 모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설문지의 하위 범주별 정규성 검정 결과 정규 분포가 만족하지 않는 요소가 존재하여 비모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vs 동영상)에 따른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및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이후 하위 범주들의 정보제공 유 · 무에 따른 이해도 및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및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내용 타당도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중재 설문지의 내용 및 구성 측면에서 어플리케이션 내용 반영에서의 적절성, 베트남 출신 다문화가정 어머니 대상으로 어휘 적절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임상경력 6년 이상인 언어병리학과 박사과정생 3인을 대상으로 사전교육 자료 및 이해도 설문지와 만족도 설문지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바탕으로 연구의 내용과 목적에 맞도록 설문지 문항 수정 및 구성 후 확정하였다. 평정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1점(= 매우 적절하지 않다) - 5점(= 매우 적절하다) 중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해도 설문지에 대한 타당도 설문지는 18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평균 4.91점으로 평가되었다. 만족도 설문지에 대한 타당도 설문지는 1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평균 4.71점으로 평가되었다.
사전교육의 타당도 설문지에는 두 유형의 사전교육 내용의 일치도에 관련한 문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총 15문항으로 평균 4.85점으로 평가되었다.

연구결과

정보제공 전·후 및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vs 동영상)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 비교

정보제공 유형에 따라 사전 및 사후 평가 이해도의 기술통계 결과, 텍스트 집단의 사전 평가 이해도(M = 61.60)가 동영상 집단의 사전 평가 이해도(M= 56.60)보다 높았으며, 텍스트 집단의 사후 평가 이해도(M = 72.10)가 동영상 집단의 사후 평가 이해도(M = 71.00)보다 높았다. 이에 대한 세부결과를 Table 3에 제시하였다.
정보제공 유형에 따라 사전 및 사후 평가 이해도 점수 차이가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텍스트 집단과 동영상 집단 간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 18) = 2.757, p>.05). 동영상 집단의 사전-사후 이해도의 평균 점수 차이(M=14.4)가 텍스트 집단 사전-사후 이해도 평균 점수 차이(M =10.5)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집단 내 사전·사후 평가 간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F(1, 18) = 23.919, p<.001). 즉, 사전 평가 이해도(M= 59.10)에 비해 사후 평가 이해도(M= 71.55)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세부결과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집단 간 이해도 하위 범주 사전·사후 차이

집단 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의 하위범주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텍스트 집단의 이해도 하위 범주 분석 결과,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2.232, p<.05). 즉, 정보제공 전 이해도가 12.30 (SD =1.703)에서 정보제공 후 13.30 (SD =1.337)으로 증가하였다.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 부분에는 ‘IT기반 선별 평가의 필요성 이해’, ‘어플리케이션으로 평가 시 스스로 적절하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이해’, ‘평가를 통해 자녀의 언어수준 파악정도 이해’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이해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2.389, p<.05). 즉, 정보제공 전 이해도가 5.80 (SD = 2.860)에서 정보제공 후 11.70 (SD = 3.199)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이해도 부분에는‘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작동방법 이해’,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처음 등록방법 이해’,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언어평가 방법 이해’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조기평가와 조기중재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이해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영상 집단의 이해도 하위 범주 분석 결과, 언어전반 이해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1.990, p<.05). 즉, 정보제공 전 이해도가 9.60 (SD =1.776)에서 정보제공 후 11.40 (SD =1.430)으로 증가하였다. 언어전반 이해도 부분에는 ‘자녀의 언어수준 이해’, ‘언어지연 시 대처’, ‘평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연령별 언어 발달 이해’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조기중재 이해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차이가 유의했다(Z = -2.060, p<.05). 즉, 정보제공 전 이해도가 10.80 (SD =1.751)에서 정보제공 후 12.30 (SD =1.059)으로 증가하였다. 조기중재 이해도 부분에는 ‘자녀 성장 시 언어평가 필요성’, ‘언어적 정보 획득 시 어려움 정도’, ‘영유아 검진 시 어려움’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 차이도 유의하였다(Z = -2.375, p<.05). 즉, 정보제공 전 이해도가 10.70 (SD =.949)에서 정보제공 후 12.70 (SD =1.337)으로 증가하였다.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 부분에는 ‘IT기반 선별 평가의 필요성’, ‘어플리케이션으로 평가 시 스스로 적절하게 평가하는 지에 대한 이해’, ‘평가를 통해 자녀의 언어수준 파악정도’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문항 이해도 차이도 유의하였다(Z = -2.598, p<.01). 즉, 정보제공 전 이해도가 10.10 (SD =1.101)에서 정보제공 후 12.00 (SD =.667)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문항 이해도 부분에는 ‘평가 문항 길이’, ‘평가 문항 어휘’, ‘평가 문항 속한 예시’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이해도 차이(Z = -2.437, p<.05)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제공 전 이해도가 5.30 (SD = 2.869)에서 정보제공 후 11.50 (SD = 3.375)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이해도 부분에는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작동방법 이해’,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처음 등록방법 이해’,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언어평가방법 이해’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조기평가 이해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정보제공 전후 이해도에 대한 결과와 그래프는 다음 Table 5, Figure 1, Figure 2와 같다.

정보제공 전·후 및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vs 동영상)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만족도 비교

정보제공 유형에 따라 사전 및 사후 평가 이해도의 기술통계 결과, 텍스트 집단의 사전 평가 만족도(M= 62.60)가 동영상 집단의 사전 평가 만족도(M = 64.30)보다 낮았으며, 텍스트 집단의 사후 평가 만족도(M= 71.20)가 동영상 집단의 사후 평가 만족도(M= 71.70) 보다 낮았다. 이에 대한 세부결과를 Table 6에 제시하였다.
정보제공 유형에 따라 사전 및 사후 평가 이해도 점수 차이가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텍스트 집단과 동영상 집단 간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 18) = 0.350, p>.05). 텍스트 집단의 사전-사후 만족도의 평균 점수 차이(M= 8.6)가 동영상 집단의 사전-사후 만족도 평균 점수 차이(M= 7.4)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집단 내 사전·사후 평가 간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F(1, 18) = 24.806, p<.001). 즉, 사전 평가 만족도(M= 63.45)에 비해 사후 평가 만족도(M= 71.45)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세부결과를 Table 7에 제시하였다.

집단 간 만족도 하위 범주 사전·사후 차이

집단 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의 하위 범주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텍스트 집단의 만족도 하위 범주 분석결과, 어플리케이션 전반 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2.121, p<.05). 즉, 정보제공 전 만족도가 7.50 (SD = .707)에서 정보제공 후 8.60 (SD =.843)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전반 만족도 부분에는 ‘사전 평가 필요성’, ‘자녀 언어 능력 평가 만족’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문항 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차이가 유의했다(Z = -2.388, p<.05). 즉, 정보제공 전 만족도가 10.40 (SD =.966)에서 정보제공 후 11.90 (SD =1.449)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문항 만족도 부분에는 ‘문항 어휘 만족’, ‘평가 문항 예시 만족’, ‘전반적 언어 능력 모두 포함’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만족도 차이도 유의하였다(Z = -2.530, p<.05). 즉, 정보제공 전 만족도가 5.80 (SD =1.549)에서 정보제공 후 8.40 (SD =1.174)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만족도 부분에는 ‘스스로 작동 만족도’, ‘IT기반 평가 편리성’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평가 어플리케이션 만족도 차이도 유의하였다(Z = -2.023, p<.01). 즉, 정보제공 전 만족도가 34.80 (SD = 3.011)에서 정보제공 후 38.10 (SD = 3.143)으로 증가하였다. 평가 어플리케이션 만족도 부분에는 ‘IT기반 평가 어플리케이션 유용성’, ‘시간적 제약 없음’, ‘공간적 제약 없음’, ‘IT기반 선별 평가 만족’, ‘목적/사용법 설명’, ‘재사용 의향’, ‘소개 의향’, ‘다른 평가 어플리케이션 사용 의향’, ‘전반적 만족도’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인권관련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영상 집단의 만족도 하위 범주 분석 결과, 어플리케이션 전반 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1.980, p<.05). 즉, 정보제공 전 만족도가 7.30 (SD =.657)에서 정보제공 후 8.40 (SD =1.075)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전반 만족도 부분에는 ‘사전 평가 필요성’, ‘자녀 언어 능력 평가 만족’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문항 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차이가 유의했다(Z= -2.264, p<.05). 즉, 정보제공 전 만족도가 10.90 (SD = .568)에서 정보제공 후 11.90 (SD = .876)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문항 만족도 부분에는 ‘문항 어휘 만족’, ‘평가 문항 예시 만족’, ‘전반적 언어 능력 모두 포함’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만족도 차이도 유의하였다(Z= -1.990, p<.05). 즉, 정보제공 전 만족도가 6.20 (SD =1.476)에서 정보제공 후 7.70 (SD =1.337)으로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만족도 부분에는 ‘스스로 작동 만족도’, ‘IT기반 평가 편리성’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평가 어플리케이션 만족도 차이도 유의하였다(Z= -2.106, p<.01). 즉, 정보제공 전 만족도가 37.00 (SD = 2.789)에서 정보제공 후 39.40 (SD = 3.340)으로 증가하였다. 평가 어플리케이션 만족도 부분에는 ‘IT기반 평가 어플리케이션 유용성’, ‘시간적 제약 없음’, ‘공간적 제약 없음’, ‘IT기반 선별 평가 만족’, ‘목적/사용법 설명’, ‘재사용 의향’, ‘소개 의향’, ‘다른 평가 어플리케이션 사용 의향’, ‘전반적 만족도’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인권관련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정보제공 전후 이해도에 대한 결과와 그래프는 다음 Table 8, Figure 3, Figure 4와 같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자인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동영상)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사전교육을 실시한 후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어떠한 유형의 정보제시 방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이해도를 비교한 결과, 정보제공 유형과 사전·사후 평가 간 상호작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책자와 같은 텍스트 교육보다 동영상으로 교육하였을 때 대상자들의 이해도 및 교육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된 선행연구들과 상반된 결과이다(Chung, 1996; Ellett, Villegas, Beischer, Ong, & Maher, 2014; Jeong, 2008). 또한 지식 습득 및 이해하는데 삽화와 텍스트로 이루어진 2차원적 정보 제공을 받은 그룹이 3차원의 멀티미디어 유형의 정보제공을 받은 그룹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와도 상반되는 결과이다(Park & Kim, 2018). 이는 ‘다문화 어머니’라는 연구참여 집단의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검사지 및 사전교육 시 전문 용어를 쉬운 용어로 바꾸거나 구체적인 예시 및 베트남어로의 번역 지원에 대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요구가 있었다(Choi et al., 2019; Zetlin et al., 199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교육 자료와 어플리케이션 평가 문항의 전문용어를 쉬운 용어로 수정하고 예시를 최대한 제공하였다. 또한 베트남어 번역을 제공함으로써 언어적 어려움으로 인한 제약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는 텍스트 및 동영상 자료 모두 적용되었기 때문에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이해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된다. 반면에, 정보제공 유 · 무에 따른 사전·사후 이해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정보제공 유형 모두 이해도를 높였으며, 사전교육으로 인해 기인한 결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사전지식이 적은 학습자들에게는 텍스트 정보와 함께 그림, 사진, 애니메이션 등의 멀티미디어 요소를 함께 제시하였을 때 문제해결이나 텍스트 정보를 회상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한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Heo, 2020; Kim & Chun, 1999; Mayer & Gallini, 1990). 따라서 사전교육은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이해도를 높이지만 정보제공 유형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사전교육의 목적에 맞게 정보제공 유형을 정해도 이해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해도 설문지를 구성한 하위 범주의 사전-사후 통계 결과, 텍스트 집단은 6개 범주(언어전반, 조기평가, 조기중재, 평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중 2개 범주(평가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영상 집단은 6개 범주(언어전반, 조기평가, 조기중재, 평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중 5개 범주(언어전반, 조기중재, 평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어플리케이션 문항 이해도에서 가장 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조기평가 이해도에서 사전·사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도 자녀의 언어 발달 과정에 대한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었기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언어 평가 어플리케이션을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제공한 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즉, 사전 평가에서도 언어 발달의 중요성 인지 및 베트남어 번역 제공으로 높은 이해도를 보여 사전-사후 평가 점수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이해도 점수에서는 정보 제공 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 범주로 보았을 때 동영상 집단이 텍스트 집단에 비해 더 많은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기중재에 대한 이해도는 동영상 그룹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동영상 사전교육에서는 시청각적 효과(예: 음향효과, 애니메이션 효과 등)를 활용하여 조기중재의 중요성 및 효과가 강조되기에 부모들이 이해하기 용이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영상을 활용한 교육이 책자보다 대상자들의 이해도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한다(Jeong, 2008). 또한 Gug (2003)Ellett 등(2014) 연구에서 동영상과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정보제공 사용은 영상과 청각적 자극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텍스트에 비해 대상자의 이해를 향상시킨다고 보는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즉,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정보제공 유형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전교육과 어플리케이션 평가 시 내용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정보제공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제공을 할 때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집단 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정보제공 유형과 사전·사후 평가 간 상호작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육하였을 때 책자보다 대상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고 보고한 연구들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Gug, 2003; Ozer & Bandura, 1990). 그러나 Blake (1977)의 연구에 따르면, 학습 능력이 낮은 대상자들은 정지된 그림보다 동영상 조건에서 높은 수행률을 보였으나, 학습 능력이 높은 대상자들은 제공되는 정보제공 유형에 수행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베트남 다문화어머니들의 최종학력이 모두 고등학교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개개인의 학습 능력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된다. 반면에 정보제공 유 · 무에 따른 사전·사후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정보제공 유형 모두 만족도를 높였으며, 사전교육으로 인해 기인한 결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Kang (1997)의 연구에서 대상자 만족의 정도가 교육과 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전 교육이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밝힌 많은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Hong et al., 2016; Park & Im, 2015; Pepper & Weitzman, 2004).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문화 및 언어적 차이로 인하여 아동의 연령에 따른 적절한 한국어 발달 수준에 관하여 정확한 지식이 부족하며(Choi et al., 2019; Kohnert et al., 2003), 아동의 실제 언어 능력과 어머니의 기대 사이에 차이가 존재한다(Pae et al., 2009). 따라서 사전교육 및 어플리케이션 문항을 통하여 연령별 발달수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었던 것이 만족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만족도 설문지의 하위 범주의 사전-사후 통계 결과 텍스트 집단은 5개 범주(어플리케이션 전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어플리케이션, 인권 관련) 중 4개 범주(어플리케이션 전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영상 집단은 5개 범주(어플리케이션 전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어플리케이션, 인권 관련) 중 4개 범주(어플리케이션 전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어플리케이션 문항 만족도에서 더 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인권 관련 만족도’ 문항에 대해서는 텍스트 집단과 동영상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총점 5점 중에 사전· 사후 모두 4점대 점수를 받으면서 일관되게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유의하게 나오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즉, 만족도에서는 모든 하위 문항에서 텍스트와 동영상 형식의 정보제공 모두 사전·사후 만족도 차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Byun (2003)은 ‘사진 및 문자’와 같이 정지된 조건보다 동영상 조건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습자에게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Jeong (2008)은 동영상으로 진행한 사전교육이 책자로 진행한 사전교육보다 대상자들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비디오를 이용한 교육이 대상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흥미를 유발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대상자의 교육 만족도에는 유의하지 않았다는 선행연구가 있다(Ellett et al., 2014; Kang & Jun, 2010). 이처럼 다양한 상황과 대상자에 따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제공 유형이 달라진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정보제공 유형 간 만족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해도의 하위 범주 분석에서는 동영상 유형이 더 많은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과 달리, 만족도에서는 텍스트와 동영상 유형 모두 동일한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만족도가 사전교육과 어플리케이션 평가 시 정보제공 유형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전교육 및 어플리케이션 평가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는 언어 평가 및 중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며, 자녀의 언어를 정확하게 인지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를 통해 사전교육 및 어플리케이션 평가가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정확한 조기선별의 필요성 및 연령별 아동의 언어 발달 단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사전교육이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을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플리케이션 선별 평가로의 접근성을 높여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조기에 선별하여 조기중재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집단 10명, 동영상 집단 10명으로 총 20명이 참여하였다. 정규성분포를 나타내긴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를 설명하거나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를 확충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출신 다문화가정 어머니들로 한국 거주 기간이 5년 이상, 한국어 교육을 1년 이상 받은 경험이 있으며, 중학교 이상의 최종학력과 자녀의 연령은 통제하였으나,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사회경제적 지위(SES) 요인을 통제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사회경제적 지위(SES) 요인을 통제하여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이해도 및 만족도 차이에 대한 다양한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베트남 출신 다문화가정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나라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한다면 흥미로운 연구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넷째, 동영상 자료에서 한국어 더빙 음성을 제공하였는데, 후속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국어 음성으로 제공하여 시각과 청각 정보를 함께 제시하였을 때 학습 효과가 더 증진될 것이라는 이중부호화이론에 근거하여 더 효과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정보제공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해도 및 만족도의 하위 범주들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어디서 나타나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위한 사전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Figure 1.
Comparison results of subcategories of the pre- and post-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comprehension of text groups (error bar based on standard error).
csd-28-2-386f1.jpg
Figure 2.
Comparison results of subcategories of the pre- and post-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comprehension of video groups (error bar based on standard error).
csd-28-2-386f2.jpg
Figure 3.
Comparison results of subcategories of the pre- and post-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satisfaction of text groups (error bar based on standard error).
csd-28-2-386f3.jpg
Figure 4.
Comparison results of subcategories of the pre- and post-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satisfaction of video groups (error bar based on standard error).
csd-28-2-386f4.jpg
Table 1.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Sortation Text group (N= 10)
Video group (N= 10)
Number of person Ratio (%) Number of person Ratio (%)
My mother’s academic background
 Middle school 0 0 0 0
 High school 6 60.0 5 50.0
 University and above 4 40.0 5 50.0
Table 2.
Participant’s basic information
Text group (N= 10)
Video group (N= 10)
M (SD) / Range Median IQR M (SD) / Range Median IQR
Child’s living age (mo) 59.10 (11.93) / 46-70 61.0 18 59.20 (10.37) / 46-71 59.50 18
Average of mom’s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yr) 7.69 (1.96) / 5-9.8 7.6 3.1 7.8 (1.79) / 5-11 8.0 2.9
Average of mom’s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iod (yr) 2.50 (.53) / 1-5 2.5 1.5 2.20 (.42) /1-3.5 2.0 2.80

IQR= interquartile range.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comprehension of the pre- and post-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between groups
Comprehension level Text group (N= 10)
Video group (N = 10)
M SD M SD
Pre-test 61.60 7.442 56.60 6.947
Post-test 72.10 5.547 71.00 7.916
Table 4.
Summary of two-way mixed ANOVA on intergroup (text, video) preand post-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comprehension
Distributed source Sum of squares Degree of freedom Mean square F p
Between factor
 Group 93.025 1 93.025 2.757 .114
 Error 607.250 18 33.736
Within factor
 Comprehension 1550.025 1 1550.025 23.919 .000***
 Comprehension x Group 38.025 1 38.025 0.587 .454
 Error 1166.450 18 64.803

*** p < .001.

Table 5.
The result of technical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subcategories of pre- and post-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comprehension by group
Distributed source Text group (N = 10)
Video group (N = 10)
M (SD) p M (SD) p
General language comprehension .062 .047*
 Pre-test 10.00 (1.491) 9.60 (1.776)
 Post-test 11.10 (1.524) 11.40 (1.430)
Early evaluation comprehension 0.388 0.120
 Pre-test 10.60 (1.506) 10.10 (1.287)
 Post-test 11.30 (1.767) 11.10 (1.729)
Early intervention comprehension .287 .039*
 Pre-test 11.20 (1.687) 10.80 (1.751)
 Post-test 12.00 (.943) 12.30 (1.059)
Screening test application comprehension .026* .018*
 Pre-test 12.30 (1.703) .018* 10.70 (.949)
 Post-test 13.30 (1.337) 12.70 (1.337)
Application questions comprehension .079 .009**
 Pre-test 11.70 (2.452) 10.10 (1.101)
 Post-test 12.70 (1.337) 12.00 (.667)
Application usability comprehension .017* .015*
 Pre-test 5.80 (2.860) 5.30 (2.869)
 Post-test 11.70 (3.199) 11.50 (3.375)

* p < .05.

Table 6.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pre- and post-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between groups
Satisfaction level Text group (N= 10)
Video group (N = 10)
M SD M SD
Pre-test 62.60 5.296 64.30 5.165
Post-test 71.20 5.865 71.70 5.618
Table 7.
Summary of two-way mixed ANOVA on Intergroup (text, video) preand post-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satisfaction
Distributed source Sum of squares Degree of freedom Mean square F p
Between factor
 Group 12.100 1 12.100 .350 .561
 Error 621.800 18 34.544
Within factor
 Satisfaction 640.000 1 640.000 24.806 .000***
 Satisfaction x Group 3.600 1 3.600 .140 .713
 Error 464.400 18 25.800

*** p < .001.

Table 8.
The result of technical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subcategories of pre- and post- language screening test application satisfaction by group
Distributed source Text group (N= 10)
Video group (N = 10)
M (SD) p M (SD) p
General application satisfaction .034* .048*
 Pre-test 7.50 (.707) 7.30 (.657)
 Post-test 8.60 (.843) 8.40 (1.075)
Application questions satisfaction .017* .024*
 Pre-test 10.40 (.966) 10.90 (.568)
 Post-test 11.90 (1.449) 11.90 (.876)
Application usability satisfaction .011* .047*
 Pre-test 5.80 (1.549) 6.20 (1.476)
 Post-test 8.40 (1.174) 7.70 (1.337)
Screening test application satisfaction .043* .035*
 Pre-test 34.80 (3.011) 37.00 (2.789)
 Post-test 38.10 (3.143) 39.40 (3.340)
Human rights satisfaction 0.564 .180
 Pre-test 4.10 (.738) 4.00 (.819)
 Post-test 4.20 (.422) 4.30 (.483)

* p < .05.

REFERENCES

Alessi, S. M., & Trollip, S. R. (1985). Computer-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Andreoli, V., & Worchel, S. (1978). Effects of media, communicator, and message position on attitude change. Public Opinion Quarterly, 42(1), 59–70.
crossref
Artiles, A. J., & Klingner, J. K. (2006). Forging a knowledge base on English language learners with special needs: theoretical, population, and technical issues. Teachers College Record, 108(11), 2187–2194.
crossref
In A. J. Artiles, & A. A. Ortiz (Eds.), (2002). English language learners with special needs: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instruction Washington, DC: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Blake, T. (1977). Motion in instructional media: some subject-display mode interactions. Perceptual & Motor Skills, 44(3), 975–985.
crossref
Byun, S. Y. (2003). The association of types of presentation and cognitive style on multimedia learning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6(2), 133–170.

Chaiken, S., & Eagly, A. H. (1976). Communication modality as a determinant of message persuasiveness and message comprehensi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34(4), 605–614.
crossref
Chaiken, S., & Eagly, A. H. (1983). Communication modality as a determinant of persuasion: the role of communicator salience.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5(2), 241–256.
crossref
Choi, E. J., Jung, H. I., Yim, D. S., & Kim, Y. T. (2019). A needs analysi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child language development screening tes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3), 565–575.
crossref
Chun, W., & Hong, G. H. (2021). The utility of telepractice in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al satisfac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7), 510–518.

Chung, E. L. (1996). The effect of behavior modification on enhancing patient adherence to tuberculosis treatment regime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3), 697–708.
crossref
Cohen, J. A., & Hasler, M. E. (1987). Sensory preparation for patients undergoing cardiac catheterization. Crit Care Nurse, 7(3), 68–73.
crossref
Ellett, L., Villegas, R., Beischer, A., Ong, N., & Maher, P. (2014). Use of a multimedia module to aid the informed consent process in patients undergoing gynecologic laparoscopy for pelvic pa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Gynecology, 21(4), 602–611.
crossref pmid
Fabiano-Smith, L., & Goldstein, B. A. (2010). Early-, middle-, and late-developing sounds in monolingual and bilingual childre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1), 66–77.
crossref pmid
Garcia, S. B., & Ortiz, A. A. (2006). Preventing disproportionate representation: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responsive pre-referral intervention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8(4), 64–68.
crossref
Geren, J. C. (2010). Dissociating matur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evidence from internationally adopted and deaf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Gildersleeve-Neumann, C. E., Kester, E. S., Davis, B. L., & Peña, E. D. (2008). English speech sound development in preschool-aged children from bilingual English-Spanish environments. Language Speech &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9(3), 314–328.
crossref pmid
Gug, M. J. (2003). A Study on the effect and application of motion picture materials in geography subject. Journal of Geographic & Environmental Education, 11(3), 119–132.

Hammer, C. S., Hoff, E., Uchikoshi, Y., Gillanders, C., Castro, D. C., & Sandilos, L. E. (2014). The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of young dual language learners: a critical review.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9(4), 715–733.
crossref pmid pmc
Heo, S. D. (2020). Effects of pre-service education on understanding of cochlear implant in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edicine & Therapy Science, 12(1), 55–62.
crossref
Hong, S. Y., Kim, S. M., Lee, R., & Lee, E. J. (2016). Effects of a feeding guid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2), 408–424.
crossref
Hwang, I. S., Lee, Y. K., Yoo, C. K., Min, C. H., Yim, D. S., & Kim, J. (2019). Towards interpersonal assistants: next-generation conversational agents opportunities with always-on microstructural conversation intervention assistants. IEEE Pervasive Computing, 18(2), 21–31.

Hwang, S. S., & Jeong, O. R. (2008).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74–192.

Jeong, E. H., Kim, T. G., & Park, Y. (2012). A study on assess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4(3), 113–141.
crossref
Jeong, H. C. (2008). The effect of in-patient guide movie and booklet programs on understanding of hospital life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1), 45–50.

Kang, G. S., & Jun, E. M. (2010). The effects of the video education program on the residual urine, gas passing and state anxiety of hysterectomy pati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4), 409–418.
crossref
Kang, I. W. (1997). A study on the patient satisfaction for nursing care in a general hospital.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3(2), 137–150.

Khan, K. S., Gugiu, M. R., Justice, L. M., Bowles, R. P., Skibbe, L. E., & Piasta, S. B. (2016). Age related progressions in story structure in young children’s narrativ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 Hearing Research, 59(6), 1395–1408.
crossref pmid
Kim, H. S., & Chun, E. Y. (1999). Effects of learning strategy, metacognition and steps of multimedia application on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a didactic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1), 133–147.
crossref
Kim, J. M. (2012).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young children at risk on b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2(4), 105–123.

Kim, S. J., Kang, J. K., Kim, Y. T., & Hong, K. H. (2022).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ults and satisfaction between the validity of non-face-to-face language screening evaluation and the parent-only evalu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4th SSK Networking Joint Symposium, 39–43.

Kohnert, K., Kennedy, M. R. T., Glaze, L., Kan, P. F., & Carney, E. (2003). Breadth and depth of diversity in Minnesota: challenges in clinical service competency.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3), 259–272.
pmid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21). 2021 broadcasting media usage behavior survey Seoul: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1). A study on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and action pla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7). Report on the results of language developmental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2016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Kuhl, P. K., Conboy, B. T., Padden, D., Nelson, T., & Pruitt, J. (2005). Early speech perception and later language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the “critical period”. Language Learning & Development, 1(3-4), 237–264.
crossref
Laing, S. P., & Kamhi, A. (2003). Alternative assessment of language and literacy in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populations. Language, Speech, &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4(1), 44–55.
crossref pmid
Lee, E. J., Jeon, J. H., & Kim, Y. T. (2022).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language screening evaluation of multicultural mothers by information providing types. Proceedings of the 2022 Regular Academic Conference of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292–293.

Lee, S. H., & Park, S. J. (2019). Development of designs for an early developmental disorder screening questionnaire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9), 262–270.

Lee, Y. M., Lee, S. B., & Sung, M. K. (2015).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 trends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Phonetics & Speech Sciences, 7(3), 153–163.
crossref
Lim, J. N., & Jung, Y. R. (2013). Development proposal of oral health educational media based on the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2), 323–334.
crossref
Magnuson, K., Lahaie, C., & Waldfogel, J. (2006). Preschool and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of immigrants. Social Science Quarterly, 87(5), 1241–1262.
crossref
Mayer, R. E., & Gallini, J. K. (1990). When is an illustration worth ten thousand word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4), 715–726.
crossref
Mcdonnell, A. P. (2016). Dealing with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9(1), 87–90.
crossref
Meisels, S. J., & Provence, S. (1989). Screening and assessment: Guidelines for identifying young disabled and developmentally vulnerabl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Clinical Infant Programs.

Min, J., & Lee, E. S. (1998). Maternal discharge training using video.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QA Medical Association, 185–188.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21). Local government foreign residents survey results Sejong: Authors.

Oh, I. S. (2014). Relations between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psychological problems amo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focus on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15(4), 219–238.

Oh, S. J., Kim, Y. T., & Kim, Y. R. (2009). Preliminary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mily fact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pecial Education Research, 8(1), 137–161.
crossref
Olswang, L. B., Rodriguez, B., & Timler, G. (1998). Recommending intervention for toddlers with specific language learning difficulties: we may not have all the answers, but we know a lot.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7(1), 23–32.

Ozer, E. M., & Bandura, A. (1990). Mechanism governing empowerment effects: a self-efficacy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8(3), 472–486.

Pae, S. Y., Kwak, K. J., Kim, K. Y., Jung, K. H., & Kim, H. J.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crossref
Park, J. T., & Kim, J. H. (2018). Effects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5), 376–385.

Park, M. D., Sung, S. O., & Kim, Y. H. (2013). A comparison in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development between infants of multicultural family and those of ordinary ones.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20(2), 83–103.

Park, W. J., & Yim, D. S. (2015). The effectiveness of parental education via smartphone application on number of utterances and initiation ratio.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4), 500–509.
crossref
Park, W. J., & Yim, D. S. (2021). Effects of using a communication maintenance strategy in the context of AI speaker and preschoolers’ conversation and book reading interaction: comparison of group differences on the levels of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30(2), 1–8.
crossref
Park, W. Y., & Choi, J. S. (2003). The assessment of the preparatory education program for the volunteer activities as a kindergarten class-assistance. Korea Journal of Child Care & Education, 35, 315–337.

Pence, K. L., & Justice, L. M. (2008). Language development from theory to practice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epper, J., & Weitzman, E. (2004). It takes two to talk: a practical guid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3rd ed .). Toronto: The Hanen Center.

Shadden, B. B., & Toner, M. A. (1998). Aging and communication: for clinician Austin, TX: pro-Ed.

Shin, M. K., Park, E. H., Hong, K. H., Lee, J. H., & Park, H. W. (2018). A usability testing of a hybrid mobile reading game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 314–326.

Stallard, P. (1996).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ar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2), 311–318.
crossref pmid
Statistics Korea. (2021). 2020 multicultural population dynamics statistics 2020 multicultural population dynamics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Tamis-LeMonda, C. S., Song, L., Luo, R., Kuchirko, Y., Kahana-Kalman, R., Yoshikawa, H., & Raufman, J. (2014). Children’s vocabulary growth in English and Spanish across early development and associations with school readiness skills.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39(2), 69–87.
crossref pmid
Umbel, V. M., Pearson, B. Z., Fernández, M. C., & Oller, D. K. (1992). Measuring bilingual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ies. Child Development, 63(4), 1012–1020.
crossref pmid
Washington, J. A., & Craig, H. K. (1999). Performances of at-risk, African American preschoolers on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III. Language, Speech, &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0(1), 75–82.
crossref pmid
Yang, S. O., & Hwang, B. M.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culture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8(1), 37–56.
crossref
Yeo, M. R., Song, I. S., Yoo, J. H., Kim, M. S., & Lee, J. H. (2001). The influence of video-aided medicinal education on the medica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schizoi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6(2), 47–62.

Yim, D. S., Kim, S. Y., Park, W. J., Cheon, S. H., & Lee, Y. J. (2014). Analysis on needs based survey of paren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or smartphone program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4), 486–500.
crossref
Zetlin, A., Padron, M., & Wilson, S. (1996). The experience of five Latin American families with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Education &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 Developmental Disabilities, 31(1), 22–28.

Appendices

Appendix 1.

Application Examples

csd-28-2-386a1.tif
Appendix 2.

Pre-guide examples

csd-28-2-386a2.tif
Appendix 3.

Comprehension questionnaire

NO 내용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평소에 자녀의 언어 발달 수준이 또래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수준인지 알고 계십니까?
2 자녀의 언어 발달이 느릴 때 어떠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지 알고 계십니까?
3 어플리케이션 평가를 통해 연령별 언어발달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십니까?
4 자녀가 성장하면서 언어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아동의 언어적인 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이 없었습니까?
6 영유아 검진 시 스스로 평가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었습니까?
7 아동이 언어발달에 어려움이 있다면, 일찍 시작해야 하는 언어치료의 중요성을 알고 계십니까?
8 아동이 언어발달에 어려움이 있다면, 초기에 언어치료를 받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9 아동의 언어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이 없었습니까?
Appendix 4.

Satisfaction questionnaire

NO 내용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기관을 방문하기 전에 가정에서 사전에 진행되는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IT기반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종이 평가지보다 편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자녀의 언어 능력을 스스로 적절하게 평가하는데 용이했습니까?
4 질문에 사용된 단어가 스스로 평가하는데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5 질문에 속한 예시는 스스로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6 어플리케이션은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능력(예:표현/이해 어휘, 발음, 문법 등)을 모두 포함한다고 생각합니까?
7 어플리케이션을 스스로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없었다고 생각하십니까?
8 IT기반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유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9 원하시는 시간에 검사를 진행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 평가의 장점이라고 생각하십니까?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upplement  Supplement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0
Scopus
829
View
133
Download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College of Rehabilitation Sciences, Daegu University,
Daegudae-Ro 201, Gyeongsan-si, Gyeongsangbuk-do 38453, Republic of Korea
Tel: +82-502-196-1996   Fax: +82-53-359-6780   E-mail: kjcd@kasa1986.or.kr

Copyright © by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Developed in M2PI